슈페리어 스파이더맨은 웨이브 1과 2, 모두 속하는 제품인 반면에 톡신은 웨이브 2에 속해있으며 웨이브 1의 카니지에 대응하는 제품입니다. 혹자는 이를 스와프(Swap) 피겨라고도 하더군요.
패키지 / ★★★
디자인에 대한 얘기는 이전 리뷰를 참조해 주세요.
웨이브 1의 카니지와 웨이브 2의 톡신이 'Spawn of Symbiotes'라는 이름으로 묶여있습니다. 부속된 BAF의 파츠는 같고요.
조형 / ★★
슈페리어 스파이더맨 - 다소 팔이 길어 보이는 것 외에는 어메이징 스파이더맨과 대동소이합니다. 가슴과 어깨 가동을 위해 나뉜 연결부위의 아우트 라인이 매끄럽지 못한것이 흠이고요.
이왕 코믹스판이라면 좀 더 스타일리쉬한 조형이면 어땠을까 싶네요. 하지만 대체적으로 만족스럽습니다.
톡신 - 2006년에 토이비즈에서 나왔던 톡신과 다른 숙주를 갖고 있고 생김새도 많이 다릅니다. 이 두번째 에디 브록의 톡신은 눈도 작고 전체적으로 매끈해졌는데 이 정제된 느낌이 그냥 형태나 도색이 심플해진 느낌이라 매력적이진 않네요. 팔꿈치에 돌기 정도가 눈에 들어 올 뿐입니다.
상체도 그렇긴하지만 특히 하체에서 박력이 느껴지질 않아요. 굴곡이 너무 완만하게 처리된 것 같습니다. 이번 시리즈의 스파이더맨 계열들은 모두 다리나 골반 조형이 마음에 안 드는군요.
가격대 성능비 / ★★☆
해즈브로 코리아가 시리즈의 반쪽만 정발한건 재고의 부담도 그 이유 중 하나겠죠. 피겨 시장이 협소한 한국 시장에서 그나마 6인치 라인을 정발해 주는것도 다행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요즘 직구가 대세이긴해도 이 만한 가격에 마트에서 손쉽게 구매할 수 있는게 어딥니까.
다만 정발할 라인업을 고를때엔 좀 더 심사숙고 해주시길 바라요.;;
전체 평가 / ★★
슈페리어 스파이더맨은 시각적으로 큰 매력은 없지만 가동성만으로도 가치가 있는 제품입니다. 특히 어깨관절만큼은 어메이징 스파이더맨과 함께 토이비즈의 46관절 스파이더맨보다 더 자연스러운 포징이 가능하니까요.
톡신보다 웨이브 1의 카니지를 더 원했는데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죠. 헤드는 볼수록 정이 가는데 바디가 영 평범한 레슬링 피겨의 바디같아요.;; 여러모로 마음에 드는건 아니지만 새로운 캐릭터란 것에 의의를 두고 싶습니다.
* 슈페리어 스파이더맨은 충격적인 탄생비화를 갖고 있는 캐릭터입니다. 2012년에 출간된 '더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700회에서 주인공 피터 파커가 비극적인 죽음을 맞게되고 그의 몸속으로 들어간 옥토퍼스 박사가 스파이더맨이 되어 활약하게 되는데 그 캐릭터가 바로 슈페리어 스파이더맨입니다.
물론 많은 회사들이 기본형태의 바디를 기준으로 조금씩 수정해서 다른 제품을 만드니깐 이해를 합니다만, 너무 많은 돌려쓰기를 하는건 아닌가 싶어서 좀 아쉬운게 이번 하스브로 마블레전드의 전반적인 생각입니다. 다행히 바디들이 대체적으로 잘 나왔기 때문에 (특히나 여성 바디의 조형은 정말 좋아졌지요) 그렇다고 하지만, 좀더 특징을 살려줄 수 있는 디테일함은 아쉬울 따름입니다.
톡신의 경우 상반신의 토르소와 하반신은 제가 가지고 있는 마블레전드 히페리온의 그것과 대동소이합니다. 게다가 저도 갖고싶어하는 마블레전드3팩의 레디오엑티브맨의 경우도 상하반신은 물론 헤드까지 같은 조형이지요 (이건 썬더볼츠의 루크케리지나 다른 근육바디들도 마찬가지 입니다.) 노동력의 절감이 가장 큰 매력이겠지만 이런식의 바리에이션은 대부분의 물건을 비슷해 보이게 하는데 크게 한몫을 하니깐 조금만 자재해주면 좋을텐데요 ㅜㅜㅜ...
그럼에도 조형자체가 나쁘지않고 도색도 깔끔해서 눈길이 가는 제품인거 같아요 :) 덩치가 큰 녀석들은 언제나 눈에도 잘 띄니까요 +_+ 스파이디는 얄상하게 잘 나와주었는데 가동성까지 좋네요 +_+ 어이쿠야 ㅇㅁㅇ....
댓글을 달아 주세요
물론 많은 회사들이 기본형태의 바디를 기준으로 조금씩 수정해서 다른 제품을 만드니깐 이해를 합니다만, 너무 많은 돌려쓰기를 하는건 아닌가 싶어서 좀 아쉬운게 이번 하스브로 마블레전드의 전반적인 생각입니다. 다행히 바디들이 대체적으로 잘 나왔기 때문에 (특히나 여성 바디의 조형은 정말 좋아졌지요) 그렇다고 하지만, 좀더 특징을 살려줄 수 있는 디테일함은 아쉬울 따름입니다.
톡신의 경우 상반신의 토르소와 하반신은 제가 가지고 있는 마블레전드 히페리온의 그것과 대동소이합니다. 게다가 저도 갖고싶어하는 마블레전드3팩의 레디오엑티브맨의 경우도 상하반신은 물론 헤드까지 같은 조형이지요 (이건 썬더볼츠의 루크케리지나 다른 근육바디들도 마찬가지 입니다.) 노동력의 절감이 가장 큰 매력이겠지만 이런식의 바리에이션은 대부분의 물건을 비슷해 보이게 하는데 크게 한몫을 하니깐 조금만 자재해주면 좋을텐데요 ㅜㅜㅜ...
그럼에도 조형자체가 나쁘지않고 도색도 깔끔해서 눈길이 가는 제품인거 같아요 :) 덩치가 큰 녀석들은 언제나 눈에도 잘 띄니까요 +_+ 스파이디는 얄상하게 잘 나와주었는데 가동성까지 좋네요 +_+ 어이쿠야 ㅇㅁㅇ....
정말로 키 좀 크고 덩치 캐릭터들은 여지없이 저 바디로군요.;; 이런.
본문에 레슬링 피겨 바디같다고 했는데 진짜 레슬링 피겨 제조사가 하던 짓을 하고 있다니!
등에 왜 구멍이 두개나 있을까라던지 톡신과 잘 안맞아 보이는 바디 등의 의문이 이제야 풀리네요. 해즈브로 마이너스 100점!!!
그래도 어쩌겠습니까, 북미제품으로선 독점권을 갖고 있다시피한 제조사인데.... 차츰 개선되길 바래야죠.ㅜ.ㅜ
일렉트로 같은 경우는 무비판임에도 얼굴이 누구세요..라서 좀 그렇더군요 =ㅅ=
캡틴 아메리카 윈터솔져 버전에서도 캡틴을 그렇게 만들어놓더니만.. 이건 뭐..
하스브로의 헤드 조형 시스템이 어떻게 이뤄지는진 모르겠지만, 암튼 뭐 하나 나올 때마다 들쑥날쑥 엉망;
제가 무비판만 모아서 더 예민한 걸지도 모르겠습니다ㅎ;
일렉트로는 배우의 초상권을 못 따서 그런지도 모르겠습니다. 이건 닮지 않았느냐가 아니라 인종을 바꿔 놓았으니...
전 일찌감치 무비버전, 코믹스 버전 가리지 않고 멤버를 채우고 있답니다. 그게 정신 건강에 좋을것 같아요. ^0^